가이드라인
ESG공시, ESG금융, ESG일반으로 구분된 국내외 ESG 관련 이니셔티브 및 가이드라인과 국내 주요 법안에 대한 주요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SG일반
ESG일반 관련 가이드라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100
발행일 :
2022-03-26
발행처 :
RE100
|
---|
RE100(Renewable Energy 100)은 기업들이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률 100% 달성을 약속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입니다. 2014년부터 영국의 비영리 기구 The Climate Group과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전기 최종 사용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상업, 산업 분야 전기 사용의 탈탄소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미국 뉴욕시에서 시작한 이래 유럽, 북미,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는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의 전세계적으로 340개가 넘는 기업이 동참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SK그룹 8개사를 비롯한 여러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 RE100 Reporting Guidance RE100 참여를 선언한 기업들은 매년 이에 대한 진행 실적을 보고해야 하는 의무를 갖습니다. RE100 Reporting Guidance는 이를 이행하는데 기업들이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며,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 정보의 적절한 공개를 실행하고 관리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례 보고는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에서 관장하고 있으며, 가이드라인이 2017년에 최초로 발표된 이후 2021년에는 5차 수정본이 발표되었습니다.가이드라인에는 인정되는 재생에너지 범위 및 CDP 기후변화 설문지와 RE100 보고용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보고 절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 RE100 Technical Criteria 개정 2022 RE100 기술기준(Technical Criteria)은 RE100 달성을 위한 재생에너지 조달과 관련된 기준을 제시하고 2년 주기로 개정되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RE100 기술기준의 개정본이 공개되었습니다
주요 개정사항 △ RE100 인정 재생에너지원: 수력발전의 경우 지속가능한 경우에만 인정(Sustainable hydropower): 수력과 바이오매스의 경우 지속가능한 경우에만 인정되고, 이는 제3자 검증을 통해 인증받을 것이 권고됩니다. △ 15년 제한 규정 도입 : 상용발전 또는 Re-powering이 이루어진 지 15년 이내인 발전소에서 조달된 재생전력만 RE100 실적으로 인정됩니다. 15년 제한 규정 예외사항은 기술요건에서 첨부파일 참고할 수 있습니다.
◈ RE100 Technical Criteria 개정 2023 기술기준 문서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기업의 재생에너지 조달 기준 관련 문서) 했습니다. 기업 재생에너지 조달을 통한 임팩트, 즉 재생에너지 확장성이 높은 프로젝트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높이도록 권고하는 원칙이 추가되었습니다. RE100 인정 재생에너지원 자체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이슈가 된 수력 및 바이오 에너지의 지속가능성 기준에 대한 설명과 보조자료(FAQ)를 추가했습니다. RE100은 동일 전략시장을 통한 재생에너지 조달을 원칙으로 하며 동일 전력 시장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방향으로 최신화되었습니다. ◈ RE100 Technical Criteria 개정 2024 커미셔닝(현장 진단 및 실사) 날짜 요구 사항: 주요 변경 사항은 재생 가능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해 15년 커미셔닝 또는 재생가능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리파워링(노후 설비 교체 등) 날짜 제한을 시행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고 회원들의 새로운 재생 가능 용량에 대한 지원 및 투자를 유도하여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유럽 단일 시장 규정: RE100은 유럽의 시장 경계 규칙을 업데이트하여 단일 시장을 EU 단일 시장에 속하고 AIB 의 일부이며 다른 적격 국가와 그리드(전력망) 연결이 있는 시장으로 정의했습니다. 이는 시장 내에서 재생 가능 에너지가 생성되도록 보장함으로써 재생 가능 전기 사용에 대한 요구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모범 사례와 일치하여 기업이 그리드 탈탄소화에 보다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더 많은 재생 가능 용량을 추진할 수 있는 영향력을 제공합니다.
개정이력
|
첨부파일
이전글 Race to Zero
다음글 K-ESG 가이드라인